Cloud/k8s-CKA
[CKA] - network 문제 해결 tip
jinkwon.kim
2023. 7. 25. 22:08
728x90
반응형
node가 속한 network range 찾기
1. kubectl get node -o wide 로 internal IP 확인
2. ifconfig로 internal ip 확인 및 대역대 확인
POD를 위해서 사용되는 IP 대역대 찾기
1. cni 의 log 확인
#kubectl logs <cni pod> -n kube-system
2. ipalloc-rage 에서 POD의 ip 대역대 확인
service를 위한 IP 대역대 찾기
1. kube-apiserver.yaml에서 확인 가능
#cat /etc/kubernetes/manifests/kube-apiserver.yaml
2. - --service-cluster-ip-range 항목으로 확인
- --service-cluster-ip-range=10.96.0.0/12
kube-proxy 의 동작 type 확인
1. kubectl logs <kube-proxy pod> -n kube-system
2. "Using iptables Proxier" 로 type을 확인
kube-proxy 배포 형태 확인
1. kubectl get all --all-namespaces
2. kube-system daemonset.apps/kube-proxy 으로 확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