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분류 보기 500

[윈도우] window 프로그래밍에서 표준 C/C++를 동시에 하용할 시 발생하는 문자열 문제점 해결

출처: http://icartsh.tistory.com/13 1. 유니코드 -> 멀티바이트 wchar_t strUnicode[256] = {0,}; char strMultibyte[256] = {0,}; wcscpy_s(strUnicode,256,L"유니코드"); int len = WideCharToMultiByte( CP_ACP, 0, strUnicode, -1, NULL, 0, NULL, NULL ); WideCharToMultiByte( CP_ACP, 0, strUnicode, -1, strMultibyte, len, NULL, NULL ); STL이용 wstring strUni = L"유니코드"; int len = WideCharToMultiByte( CP_ACP, 0, &strUni[0], -1..

[윈도우] 문자열의 Encoding 방식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문자열의 Encoding 방식 출처 : http://eunchul.com/database/board/cat.php?data=Win32_API&board_group=D45ef8ac8c01d4 C++ 문법을 배우고 Win32 프로그래밍을 시작 할 때, 가장 어려운 것중 하나는 엄청난 수의 Win32 DataType들과 생소한 Macro들이었다. 생전 처음 보는 그 녀석들을 이해하려면 상당한 범위를 돌아다녀야 했고, 이해하기 보다는 대충 이렇게 쓰면 오류없이 컴파일 되더라 정도로 사용하는게 현실이었다. 그 중에서도 문자열부분은 꽤나 두통을 유발하는 것들인데 유니코드고 멀티바이트고 신경안쓰고 대충 만들고 싶어도 어디에서건 꼭 발목을 잡히게 된다. 그렇다고 아주 해결이 안되는것도 아닌데, 그 ..

4장 목표

4장 목표 이번 장에서 말하는 내용은 핵심은 딱하나이다. 원대한 계획을 세워라, 그리고 그 계획을 세부적으로 나눠라 마지막으로 시간계획을 세워 그것을 실천해라 사람은 언제나 너무 큰 목표를 보게되면 아.. 저걸 어떻게 하지 라고 할것이다. 그러나. 그 큰 목표를 세부적으로 나눠서 보면 별거 아닐 것이다. 책의 저자는 언제나, 박사 시절의 이야기를 통해서 계획의 중요성과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말한다. 나역시 프로그래머써로 계회의 중요성과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요즘에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시간이 터무니 없이 촉박 할수있다. 그러면 이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내 생각은 다음과 같다. 우선 최대한 불만을 토론해라. 이렇게 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당신이 얼마나 힘든일은 하는지 알지 못..

책- 정리/완공 2017.02.01

SourceTree 한글 깨짐 해결( EUC-KR로 설정)

sourcetree에 대한 euc-kr로 인코딩 맞추는 방법 1. 저장소 기본 편집 인코딩 맞추기 - 도구 -> 옵션 -> 일반에서 기본 텍스트 인코딩 을 euc-kr로 변경 2. Log 관련 euc-kr 처리 - 맨 우축 상단의 설정 선택 - 서정 파일 편집 - 기본 설정에서 아래 빨간색 설정을 추가 [i18n] logOutputEncoding = euc-kr commitEncoding = UTF-8[core]repositoryformatversion = 0filemode = falsebare = falselogallrefupdates = truesymlinks = falseignorecase = true[remote "origin"]url = git-repo@10.0.8.220:RulesManagem..

프로그래밍 2017.01.31

3장 기억

3장 기억 책에서 저자는 기억이 타고나느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에 대한 예시로 메모리 챔피언이란 예시를 들어주는데, 메모리 챔피언에서 프리랜서 기자가, 메모리 챔피언이 되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야기의 결론은 , 일반인도 기억력에대한 전략만 잘 ㅉ짜면 기억력을 극대화 할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기억력을 늘리는 방법은 다음을 강조한다. 인출, 시험, 암송 , 토론, 요약, 글쓰기 + 반복 이에 대해서는 나도 동의하는 바다. 나 역시 공부를 한 후 시험을 친것은 오래 오래 기억하고 있고 그외것은 단순히 까먹는다. 그리고 잦은 반복을 통하여 위 과정을 많이 한다면 월씬더 효과적일 적일 것이다. 내가 자아 중요하게 생각하는 스스로 요약하면서 정리하는 것이다. 스스로요약 하는 것 자체가 배운 것..

책- 정리/완공 2017.01.25

리눅스 프로세스별 메모리 사용량 확인법

리눅스 프로세스별 메모리 사용량 확인법 간단 root@localhost] # ps -o pid,pcpu,pmem,rss,vsz,cmd -p `pidof nginx` PID %CPU %MEM RSS VSZ CMD 1370 0.0 0.0 2304 141128 nginx: master process /usr/sbin/nginx -g daemon on; master_process on; pid %CPU %MEM rss (kb) vsz (kb) cmd process id 시스템 전체 cpu사용량 시스템 전체 메모리 사용량 물리 메모리 가상 메모리 실행 명령어 프로세스 상세 리눅스 환경에서 프로세스별 메모리 사용량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ps -eo user,pid,ppid,rss,size,vsi..

2장 메타인지

메타인지 한번 읽어서는 감이잘 안왔다.. 처음 읽었을때는 얼마나 내 자신을 알고있느가 정도(?)로 감이 왔다. 그리고 가장 기억에 남는것. 나만의 학습법을 찾아 내 자신을 알라,그리고 가장 기억에 남는 점은 "결국 지식은 스스로 추구해 나갈때 자기화가된다" 메타인지에 대한 부분을 두번 읽어보았다. 이번에는 정리하며서 읽어보았다. 이번에는 메타인지를 좀더 알수 있었다. 메타인지란 자기가 뭘 잘하고 뭘 못하는지 정확인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메타인지가 높을수록 자신을 더 잘 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또한가지 너무 자만하지마라 내가 다 안다고 생각 할때 그것은 다 아는 것이아니다.이것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방법은 연습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다. 메타인지를 높이는 방법1. 학습 전략을 배우는것이것이다. 2..

책- 정리/완공 2017.01.12

Linux 분할 컴파일시 유의 사항.

분할 컴파일시 유의사항. 사전 지식 compile의 전체 과정 전처리(Preprocessing): 이 단계에서는 #include, #define, #if 등과 같은 전처리 지시어가 처리됩니다. #include 지시어를 통해 헤더 파일이 소스 코드 파일에 포함되며, #define 지시어는 매크로를 정의하고, #if 지시어는 조건 컴파일을 수행합니다. 컴파일(Compilation): 이 단계에서는 전처리된 소스 코드가 컴파일러에 의해 기계 독립적인 중간 코드(어셈블리 코드)로 변환됩니다. 컴파일러는 이 단계에서 소스 코드의 문법적 오류를 검사하며, 타입 체크와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어셈블리(Assembly): 이 단계에서는 컴파일러가 생성한 어셈블리 코드가 기계어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기계어 ..

Chapter 2장 의미 있는 이름

의미있는 이름 1. 의미 있이름 이란? - 변수나 함수 그리고 클래스 이름은 당음과 같은 굻직한 질무에 모두 답해야한다. 변수(혹스 함수나 클래스)의존재 이유는?수행 기능은? 사용 방법은?따로 주석이 필요하다면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지 못헀다는 말이다. - 만약 프로그래머 시간에대하여 int d; // 경과 시간(단위:날짜) 이렇게 사용했다면 최악이라고 본다. - 다음과 같이 명명하게 옳다. int elapsedTimeInDaya; int daysSinceCreation; int datsIsnceModification; int fileAgeInDay; 이렇게 사용하면 좀더 명화하게 변수에 대한 의미를 알수가 있다. 2. 그릇된 정보를 피하라. - 프로그래머에서 list라는 단어는 특수한 단어이다. 만약 계..

1장 믿음

1장 믿음요약믿음이란 장에서는 기억 해야 할 내용은 나 자신을 믿으라는 것이다.(자기 암시를 걸자 ㅎㅎ;;)나는 잠재력이 무한하고 모든 걸 할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믿음을 키울수 있는 방법으로 작은 것부터 실천하라고 한다. 이유는 작은 것을 하나 하나 실천해서 성공하가되면 자신값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고난과 역경도 이결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번 장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말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물은 포기하란 뜻이 아니다. 나를 더 강하게 말들어주는 발판이다. 뇌는 죽을때 까지 성장한다.실패는 성장을 위한 발판이다.공부는 나 자신을 측정하는 것이다. 공부는 소통의 방법이다. 위 5개의 말들이 가장 인상 깊었다. 느낀점.나는 현재 프로그래머로써 활동하고 있으며 위 5가지를 나..

책- 정리/완공 2017.01.11